본문 바로가기
728x90
반응형

음식 조리33

조림・초・볶음 양념장 만들기  동양의 양념장과 서양의 소스 1. 공통점: 조미료, 향신채, 기름 등을 조화시켜 재료의 맛을 이끌어 내고 아름다운 모양과 색으로 식욕을 돋우는 역할 (1) 재료의 신선함을 살리고 잡냄새는 줄이며 누구나 음식을 즐길 수 있도록 최고의 맛 조합과 향으로 유혹한다. 양념 본연의 기능을 최대한 살리면서도 주재료인 육류, 어 류, 채소류의 맛을 최대한 이끌어내어 먹는 사람을 만족시킨다. (2) 주가 되는 재료와 곁들이는 부재료가 조화롭게 어울려 서로의 장점을 부각시키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. 고기의 경우, 느끼함을 줄일 수 있는 채소류와 조화되게 하고 생선 요리의 경우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맛을 부재료와 어울려 다채롭게 유도한다. 2. 차이점: 양념장은 경험에 기초해 조화된 새로운 맛을 만들며 소스는 레시피에.. 2022. 6. 2.
찌개 조리 (명란젓, 청국장,생선, 된장 찌개)  찌개란 찌개와 마찬가지이나 국물을 많이 하는 것을 지짐이라고 하고, 고추장으로 조미한 찌개는 감정이라고 한다(황혜성・한복려・한복진, 1990). 한국의 전통 음식(2006)에서는 양념장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. 찌개는 궁중 용어로 조치라 알려져 있고,「시의전서」의 목록에“좃치: 각색 찌개 이름이 좃치”라고 적혀 있으며 재료에 따라 골조치, 처녑조치, 생선조치 등을 들어서 설명하였고, 재료에 따라 간장에 하는 것을 맑은 조치, 고추장이나 된장에 쌀뜨물로 하는 것을 토장 조치라 하였다.  종류 1. 명란젓국찌개 명란젓과 두부, 무, 파 등을 한데 넣어 새우젓국으로 간을 맞춘, 담백한 맛의 찌개로 특 히 겨울철에 맛이 있는 찌개이다(황혜성・한복려・한복진, 1990). 2. 된장찌개 두부와 채소, 소고기.. 2022. 6. 2.
찌개・전골 양념장 만들기  양념 양념은 음식을 만들 때 음식의 맛과 향을 더 좋게 하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약리적인 기능을 가진 것도 있어 건강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. 양념은 단맛, 짠맛, 신맛, 쓴맛 등을 내는 조미료와 재료 자체의 향에 의해 맛을 더 좋게 하는 향신료가 있다(이종미・박윤정・ 정혜경, 2010).  조미료 조미료는 영양적 가치는 거의 없으나 음식을 만들 때 주재료에 첨가되어 음식의 맛을 좋 게 할 목적으로 사용한다. 1. 소금 소금은 짠맛을 내는 조미료로 음식의 기본인 간을 맞추는 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미생물 의 작용을 억제하는 방부 작용, 배추 절임에서의 탈수 작용, 녹색 채소를 데칠 때 색을 보 존하는 등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(손정우・송태희・신승미 외, 2007). 2. 간장 간장은 음식의 간을 맞.. 2022. 6. 2.
찌개・전골 육수 만들기  육수 육수(肉水)란 고기를 삶아낸 물이라는 의미로 찌개나 전골의 맛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. 육수의 종류에는 소고기 육수, 사골 육수, 닭 육수, 멸치 육수, 다시마 육 수, 바지락 육수 등이 있는데, 하나의 재료만으로 육수를 만들거나 두 가지 이상의 재료로 육수를 만들기도 한다. 맑은 육수를 만들기 위해서는 고기나 뼈에 있는 지방을 제거하고, 약한 불로 가열하는 동안 거품과 지방을 제거한다. 육수를 완성한 후에는 체에 걸러 주어 야 한다. 특히, 동물성 식품을 원료로 한 육수의 경우에는 차게 식힌 후 지방을 걷어낸다.  끓이기 끓이기는 물 속에서 가열하는 조리법으로 식품에 함유된 맛 성분을 우려내어 국물까지 이 용하므로 영양소의 손실은 비교적 적고 조직의 연화, 전분의 호화, 단백질.. 2022. 6. 2.
728x90
반응형